오늘 오전에는 객체지향에 대해 배우고, 저녁에는 CS강의를 들었다.
정리 정리
https://www.notion.so/2h5i/2022-11-18-867165f781f4484ba71f8980e1dcdfae
객체
- 객체 = Object(사물), Object는 다양한 속성들의 집합이다.
- 속성 또한, 속성으로 이루어진 “객체이다”
- 사물을 설명하는 것은 그 사물이 가지고있는 속성을 설명하는 것 ⇒ 객체
- 예) 붕어빵
- color - 노란색
- shape - 붕어
- 내용물 - 팥
- 노란색이고 내용물로 팥이 들어 있는, 붕어 모양인 것은? ⇒ 붕어빵
객체 지향이란?
객체지향의 목표는 실세계를 모방하는 것이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객체 의인화, 은유
- 현실 세계의 존재 → 소프트웨어의 존재
- 수동적(현실 세계) → 능동적 변함(소프트웨어 세계)
- 소프트웨어의 세계에서는 객체가 더 많은 일들을 스스로 할 수 있어야 함
- 실세계에서는 존재하지도 않는 추상적인 것들 또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존재로 탄생
- 커피
- 실세계에서는 스스로 커피양이 줄지 않는다.
- 소프트웨어 세계
- 커피
- 실세계에서는 존재하지도 않는 추상적인 것들 또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존재로 탄생
- 즉, 객체지향은 현실 세계를 모방한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를 참조하여 새로운 세상을 탄생시키는 것
- 객체는 현실에 대한 은유다.
객체 지향
- 객체는 다른 객체와 협력하기 위해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시지를 전달 받은 객체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데 적합한 메서드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처리한다.
- 클래스는 객체들의 협력 관계를 코드로 옮기는 도구일 뿐이다.
- 객체의 역할, 책임, 협력에 집중
- 객체지향은 객체를 지향하는 것이다. (클래스를 지향하는 것이 아님)
프로세스, 스레드, 비동기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운영체제(OS)에서 배우는 개념.
비동기는 CS개념이라기보다 개발하다보면 많이 접하는 개념.
프로세스, 스레드 - CPU가 해야할 일
프로세스
-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인스턴스 - 설계된 것을 바탕으로 구현된 구체적인 실체
*시스템 자원 -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독립된 메모리 영역
-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
-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관리하기 위해 이 공간들을 어떤 구조로 관리하는데, 이를 프로세스 주소 공간이라 부른다.
스레드
프로세스 내에서 프로세스의 자원을 이용하는 여러 실행 흐름의 단위
멀티 프로세스
- 하나의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프로세스로 구성하여 각 프로세스가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
장점
- 여러 개의 자식 프로세스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자식 프로세스만 죽는 것 이상으로 다른 영향이 없다.
단점
- 문맥교환(Context Switching)에서의 오버헤드 Context Switching 과정에서 캐쉬 메모리 초기화 등 무거운 작업이 진행되고 많은 시간이 소모된느 등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 프로세스 간 통신 기법 하나의 프로그램에 속하는 프로세스 사이의 변수 공유 불가.
*문맥교환(Context Switching)
- CPU는 한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프로세스를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돌아가면서 여러 프로세스 작업을 처리하는데, 이 과정을 Context Switching이라한다. (ex) vscode 쓰면서 크롬에서 구글링)
멀티 스레드
- 하나의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스레드로 구성하고 각 스레드가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
장점
- 프로세스에 비해 메모리 공간과 시스템 자원 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 스레드 간 통신시, Data, Heap 메모리 영역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으므로 통신 방법이 간단하다.
- Context Switching 시 PCB 및 캐시 메모리를 비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적고 더 빠르다.
단점
- 서로 다른 스레드가 Data , Heap 영역 등을 공유하기 때문에 어떤 스레드가 다른 스레드에서 사용중인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하여 엉뚱한 값을 읽어오거나 수정할 수 있다. 자원공유 동기화 문제가 발생한다.
- 하나의 스레드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프로세스가 영향을 받는다.
Thread-safe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사용되어도 안전하다는 것.
여러 스레드가 프로세스의 공유 자원에 접근할 때 , 공유 자원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동기 vs 비동기(호출되는 함수의 작업 완료 여부를 신경쓰는가)
- 동기
- 함수 A와 B를 호출할 때 , 함수 A가 함수 B의 리턴 값을 계속 확인하면서 신경 쓰는 것
- 비동기
- 함수 A와 B를 호출할 때, 함수 A가 함수 B의 작업 완료 여부는 신경쓰지 않는 것.
자바의 비동기
- 특징
- 기본적으로 멀티 스레드 방식
- JVM에 의해 스레드 스케줄링이 이루어진다.
- 활용 예시
- Request 요청 처리 , DB 접근 등
- Spring WebFlux
- 멀티스레드방식x
- eventloop를 활용하는 eventdriven 방식으로 다수의 요청을 상대적으로 더 적은 수의 스레드로도 커버 가능하다.
- 승민 튜터님의 쉽게 이해하기 보충설명 대충 정리..
프로세스 여러개 있어
하나 프로세스에는 인텔리제이 하나 프로세스에는 크롬이 있는거야
효율을 주기 위해 나눈거임
스레드는 자바 코드를 가지고 뭔가 만들꺼야 만드는것도 프로그램이 될꺼임. 당연히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고 싶을꺼임.
하나의 큰 박스(프로세스) 안에 여러개의 스레드가 들어있는거야. 1번은 1번 일 해라 2번은 2번 일 해라
프로세스는 하나에서 데이터를 온전히 관리를 한다. 프로세스를 넘어선 데이터는 공유가 안된다.
프로세스 안에 있는 스레드들은 데이터를 공유 할 수 있다.
내가 A 라는 프로세스야. 내가 뭘 하고있어. 근데 딴거하래 . 그럼 집중이 흐트러지잖아 그게 문맥 교환 비용.
ㅎ ㅏ 일단 정리 하긴 했는데 무슨 내용인지 정확히는 잘 모르겠다. 여러번 다시 읽어봐야겠다.
'내일배움캠프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22 TIL (0) | 2022.11.22 |
---|---|
2022.11.21 TIL (0) | 2022.11.21 |
2022.11.17 TIL (0) | 2022.11.17 |
2022.11.16 TIL (2) | 2022.11.16 |
2022.11.15 TIL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