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velop RSS 태그 관리 글쓰기 방명록
2021-09-12 15:53:26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불러올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를 불러올 때, 실행환경(브라우저 탭) 안에서 HTML, CSS, Javascript 코드가 실행된다.

자바스크립트는 HTML과 CSS가 결합되고 웹 페이지  상에서 올려진 후, 브라우저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실행된다. → 페이지의 구조와 스타일 등을 정해놓고 그 후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된다.

 

 

 

해석형 언어와 컴파일러형 언어

자바스크립트는 해석형 언어이다. 따라서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되고, 즉시 결과가 반환된다.

브라우저에서 동작하기 전에 다른 방식으로 코드를 변환할 필요가 없다.

반면, 컴파일러형 언어는 컴퓨터에 의해 동작되기 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언어이다. 예를 들면 C / C++과 같은 언어는 에셈블리어로 컴파일되어 동작한다.

 

 

서버측 코드 / 클라이언트측 코드

클라이언트 측 코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작동되는 코드. 웹 페이지를 연다. → 클라이언트측 코드가 사용자의 컴퓨터로 다운로드 된다. → 브라우저가 이를 표시한다.

서버측 코드

서버에서 작동. 그 결과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넘어가 표시된다.

 

자바스크립트는 클라이언트측, 서버측(Node.js) 둘다 가능!

 

 

 

동적 VS 정적 코드

동적

클라이언트측 / 서버측 모두 가르킨다. 각기 다른 상황에서 적절한 정보가 보이고, 컨텐츠를 웹페이지나 앱상에 계속적으로 노출 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버측 코드는 DB로부터 데이터를 던지는 등 동적으로 새로운 컨텐츠들을 만든다.

클라이언트측 코드는 새로운 HTML표를 만들어 서버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뿌려 사용자에게 보이는 등 브라우저 안에서 작동된다.

 

동적으로 바뀌지 않는 페이지를 "정적"페이지라고 한다. (항상 같은 콘텐츠를 보여준다.)

 

 

 

 

 


 

 

 

 

출처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JavaScript/First_steps/What_is_JavaScript

 

'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동기 / 비동기  (1) 2021.08.30
Javascript new  (0) 2021.08.25
Javascript this  (4) 2021.08.13
tevelop. Designed by 코딩재개발.